요약
배관의 비파괴 검사 및 유지·보수는 물론 급기·환기 덕트와 양식장 해수 흡입관 및 기타 산업용 설비의 해수 취수관 내부 청소장치 등 배관 검사 & 청소(In-Line-Inspection & Cleaning) 분야 특허 기술 트렌드 및 시장 동향을 살펴본다.
보고서 3권 (총 139 p)
별도 부록: [특허DB 완전정복] 선행조사 및 특허검색 (80 p)
보고서1. 배관 검사 로봇(Robotic ILI(In-Line-Inspection))
페이지 : 36 p
배관 검사 로봇은 비파괴 검사로봇 구조기술로 다양한 배관형상 대응 로봇이동기술, 유압제어를 통한 정밀 위치제어기술, 탐촉자의 원주방향회전을 통한 검사누락 영역을 최소화하는 구조기술이다.
배관의 비파괴 검사 및 유지·보수는 물론 방사선 비파괴 검사(RT) 및 배관 청소·갱생 분야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그림] 관내면 검사용 로봇의 이동방법
보고서 2. 해수 흡입관 청소장치(Pipe Cleaning)
페이지 : 19 p
해수 흡입관 청소장치는 양식장 해수 흡입관 청소용은 물론 해수 담수화 설비 및 기타 산업용 설비의 해수 취수관 내부 청소장치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그림] Pigging의 공정 개념도와 다양한 종류의 pigs
보고서 3. 덕트 청소용 로봇시스템(Cleaning Robot)
페이지 : 84 p Appendix: 유사 특허 조사리스트 (31개)
덕트 청소용 로봇시스템은 가변 급기·환기 덕트 등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브러쉬 제어기술과 청소상태 검사를 위한 고화질 영상시스템 적용기술 및 소형화 로봇구조를 포함한다.
현재 국내외 덕트 크리닝 기술동향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브러쉬를 이용한 기계적인 덕트 청소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워싱 방법과 접촉식 집진 크리닝 방법이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베스트환경산업의 덕트 청소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