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총 20권
보고서 1. 냉매가스 안정화 장치(Refrigerant Gas)
냉동 방법 중 중소형 냉동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냉동방법은 증기 압축식 냉동기(vapor compression refrigerator)이다.
아래 좌측 그림은 압축기에 입력해 열의 이동방향을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의 기본 개념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앙의 그림은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증발기의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좌)개념도, (중) 기본 구성요소, (우) T-s 선도
보고서 2. LED 조명등(LED Light)
LED 조명등은 빛 반사기술과 방열기술이 품질 및 성능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반사를 통해 광 효율을 증대시키고 방열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져 그 수명을 안정화 하는 것이 주된 기술이다.

[그림] LG 이노텍의 LED조명 무선제어솔루션
보고서 3. EMP 차폐용 도어(EMP Shielding Door)
EMP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형태로 전자기기에 조사되는 경우 기기의 오작동이나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전자기 펄스이다.
이러한 EMP는 국가의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으며, EMP 공격으로부터 차폐가 가능한 공간에 방호가 필요한 전자기기를 설치해 이에 대비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림] EMP 방호설비의 주요 구성 및 EMP 방호기술 이미지
보고서 4. 필름 콘덴서(Film Capacitor)
필름 콘덴서의 자체 발열을 줄이고 퓨즈부 작동에 의한 용량 감소율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콘덴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면적당 충전된 용량이 작아지므로 서지 방전 시험에서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림] 필름 콘덴서 적용분야
보고서 5. 광가입자 단말장치(Optical Network Unit)
광가입자망(Optical Access Network)은 고속의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업자의 노드장치부터 가입자의 단말장치 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 접속망이다.
현재,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의 광가입자망은 대부분 광분배기(Optical Splitter)가 포함된 수동형 광가입자망(PON) 이다.

[그림] AON(Active Optical Network) vs. PON(Passive Optical Network)
보고서 6.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케이블 트레이는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 등을 시공함에 있어 천정 또는 벽체에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불연성 또는 금속재를 적용해 만든 설비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의 간결한 정리 외에도 구조물과 각종 장치와의 간섭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케이블 손상 등에 따른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림] 방진형 케이블 트레이 및 행거지지 완충시스템
보고서 7. 금속사출성형을 활용한 초경드릴 및 엔드밀(Carbide Drill & End Mill utilizing MIM)
MIM용 합금분말 소재란 초경드릴 생크부에서 요구되는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분말사출성형(MIM) 공정에 적합한 새로운 조성의 금속합금분말 소재이다.
합금조성, 분말제조기술, 초경 드릴 및 엔드밀의 MIM공정기술이 초경드릴 및 엔드 밀 제조에 적용이 될 경우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 시장진입이 유리하고, 점유율을 꾸준히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MIM공정 도식도
보고서 8. 황동 합금(Brass Alloy)
동합금 중 황동을 이용한 제품은 중화학공업에서부터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생활용구를 제조하는 경공업에 이르기까지 각종 제품의 제조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산업의 기초소재이다.
산업구조 고도화 및 첨단산업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꾸준한 수요증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합금소재로의 변화가 꾸준히 진행되는 소재이다.

[그림] 황동합금(예시)
보고서 9. 전도성 복합분말(Electrical Conductivity Materials)
전도성 고분자란 전기전도성을 가진 고분자로 일반적인 유기고분자와 달리 금속이나 반도체의 전기적, 자기적, 그리고 평화적 성질을 동시에 갖는 고분자를 말한다.
수계 에멀젼, 수용성, 분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한다.

[그림] 금속피복 플라스틱입자(좌) 및 입자형상단면(우)
보고서 10. 카메라용 렌즈 조립기(Camera Lens Module)
카메라용 렌즈 조립기는 경통에 삽입되는 렌즈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렌즈모듈 조립장치를 직렬로 배열해 각 렌즈모듈 조립장치를 통해 렌즈 및 부품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더불어 렌즈 또는 부품이 삽입될 때 고정된 비젼들에 의해 렌즈트레이 또는 경통트레이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렌즈모듈 조립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조립시스템이다.

[그림] 카메라용 렌즈조립기(예시)
보고서 11.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Ultrafiltration Membrane)
중공사 막은, 무균수 제조, 음용수 제조, 하수종말처리에서의 고도처리, 소규모 합병정화조에서의 고도처리, 산업폐수에서의 부유물질 제거, 중수도 및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 공업용수 및 수영장 용수의 처리 등과 같은 수처리 분야, 및, 식품, 자동차 및 철강산업 등 생산공정에서 공정물질 회수 분야,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분리막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그림] 수직형 중공사막
보고서 12. 활성탄 분말 자동 용해 장치(Powdered Activated Carbon)
활성탄 분말 용해장치는 원수의 조류 독성·냄새물질 및 과불화 화합물과 같은 미량유해물질 등을 처리하기 위한 정수처리 시설중의 하나이다.


[그림] 정수 및 하수 처리 계통도
보고서 13. 광학디자인패턴 필름(Optical Pattern Film)
UV 임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광학디자인패턴을 필름 또는 원단에 인쇄하는 기술이다.
다양한 필름 자체에 디자인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폴리우레탄계 필름에도 광학패턴을 포함한 복합패턴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광학디자인패턴 필름 제품 및 제조장치
보고서 14.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LFP(Lithium Ion Battery Cathode Active Material LFP)
리튬 이차전지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이차전지 가운데 가장 성능이 우수한 전지이며 우수성 때문에 핸드폰, 노트북 PC, 전동공구 등 제한된 부피와 가벼운 무게에 대한 요구가 큰 제품, 즉 휴대용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그림] 고용량 배터리 기술 발전 개념도
DC 유도가열은 초전도 코일에 DC 전류를 인가해 균일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내에서 제품을 모터로 강제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DC 유도가열은 DC 전류를 사용해 초전도 코일의 열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유도가열장치의 전체 시스템 효율을 9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림] 창원대, 슈퍼코일 2세대 초전도 자석
투습방수 필름이란 말 그대로 인체의 수분은 통과시키고, 외부의 물은 스며들지 않게 해 비나 눈에 젖지 않고 땀은 배출시켜 착용자의 체온조절을 돕고, 쾌적감을 유지하도록하는 필름형 직물 소재를 말한다.

[그림] 투습방수소재의 제조법에 의한 분류
패키지 원재료 화학수지 사용량을 줄이고 공정상의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 위에 air vent를 만들어 화학수지의 사출 성형 공정에서 품질 안정화와 원재료 사용량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림] LED 패키지 및 모듈의 기본 구조
수직 LED소자 제조 공정 상, 사파이어기판위에 LED소자 층을 증착시킨 후 뒤집어서 본딩 기술로 메탈기판을 붙이는 공정이 있는데, 이 공정에서 메탈웨이퍼가 사용된다.

[그림] 금속웨이퍼(Metal Wafer)의 구조
PC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들 사이에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광전송 모듈을 이용해 전송하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형식의 디지털 영상 시스템을 손실 없이 먼 거리까지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광소자)에 관한 기술이다.


[그림] 광케이블(예시) 및 주요 적용분야(의료분야, 방송분야, 디지털사이니지)
도어를 적절하게 지지해, 여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열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빠르게 낙하하며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hinge(경첩))가 필요하게 된다.

[그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힌지의 예